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2025년 청년취업지원정책 알아보기

by 벨라신 2024. 11. 12.
반응형
2025년 청년취업지원정책 알아보기

2025년 문제점

청년 고용지표는 현재 양호한 상황을 보이고 있지만, 첫 직장을 구하는 데는 여전히 오랜 시간이 소요되고 있습니다. 2024년 7월 청년 실업률은 역대 최저 수준을 기록했으나, 첫 취업까지의 소요 기간은 2022년 11개월에서 2024년 12개월로 증가했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잦은 이직과 단기 일자리의 증가 등으로 인해 청년들의 취업 애로가 심화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청년 취업자 중 주 36시간 미만 근로자의 비율이 2020년 22.7%에서 2024년 1-5월에는 40.8%로 증가하여, 많은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 우려됩니다. 반면, 중소기업에서는 구인난이 지속되고 있어, 청년들과 기업 간의 미스매치가 심각한 상황입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청년취업지원정책과 중소기업의 고용 환경 개선이 필요합니다.
 

청년 일경험 확대

청년 일경험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2024년에는 4.8만 명에서 5.8만 명으로 늘리고, 이를 위한 예산을 469억 원 추가 지원하기로 했습니다. 기업들이 경력직 및 수시채용을 선호함에 따라 직무 경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이에 따라 중장기 및 프로젝트 중심의 양질의 일경험 기회를 대폭 마련하고 있습니다. 2024년에는 전체 48,000명에게 기회가 제공되며, 이 중 18,500명이 국내 인턴으로 참여할 예정입니다. 또한, 500명의 해외인턴, 6,000명의 프로젝트 인턴, 8,000명의 ESG, 15,000명의 기업탐방도 포함됩니다. 2025년에는 이러한 수치가 각각 58,000명, 23,000명, 1,000명, 10,000명, 9,500명, 14,500명으로 증가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확대는 청년들이 실질적인 경험을 통해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청년취업지원정책으로 평가됩니다.
 

미취업 졸업생과 구직단념 청년 지원 강화

미취업 졸업생과 구직단념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7.2만 명을 대상으로 299억 원의 예산을 추가로 투입할 계획입니다. 특히, "쉬었음" 청년 44.3만 명이 노동 시장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사전 발굴 및 관리를 통해 맞춤형 일자리 지원을 강화할 예정입니다. 신규 미취업 졸업생을 적극적으로 발굴하고, 이들에게 특화된 취업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구직을 포기하지 않도록 도울 계획입니다. 또한, 자신감이 결여된 구직단념청년을 위한 프로그램을 확대하여 구직 의욕을 고취하고 취업 역량을 강화할 것입니다. 이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5주에서 25주 이상 참여 시 매달 50만 원의 참여수당을 지원받을 수 있어, 청년들이 안정적으로 취업 준비를 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이 청년들의 고용률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특화훈련,  일자리 도약장려금, 기술연수

청년들의 취업을 지원하기 위해 신규 특화 훈련, 도약장려금, 기술연수 프로그램을 포함한 '빈일자리 채움 3종 패키지'를 신설했습니다. 이 패키지의 특화 훈련은 국민취업지원제도를 통해 훈련 및 취업 수당이 기존 320만 원에서 480만 원으로 증가하며, 1.3만 명에게 228억 원이 지원됩니다. 특화 일자리 도약장려금은 사업주 지원 요건을 완화하여 720만 원의 지원을 제공하며, 청년 근속 인센티브로 480만 원을 추가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4.5만 명에게 551억 원이 투입될 예정입니다. 또한, 2년 이상 재직한 청년을 대상으로 3~6개월 간의 기술연수를 지원하여 200명에게 72억 원이 지원됩니다. 이러한 청년취업지원정책은 청년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의 인력 확보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결론

청년 고용 시장은 양호한 지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러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첫 직장 구하기의 어려움, 잦은 이직, 단기 일자리의 증가 등은 청년들의 취업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청년 일경험 프로그램 확대, 미취업 졸업생 및 구직단념 청년 지원 강화, 그리고 특화훈련과 도약장려금 등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종합적인 지원이 청년들의 취업 경쟁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의 인력난 해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지속적인 청년취업지원정책 개선과 실행이 필요하며, 청년들이 안정적인 일자리를 찾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반응형